모두의 네트워크(Network for Everyone)
-미즈구치 카츠야 지음, 이승룡 옮김, 길벗 출판사
책을 읽고 중요한 내용을 핵심용어 위주로 정리하였다.
Lesson 16 이더넷의 종류와 특징
1. 이더넷은 케이블 종류나 통신 속도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분류된다.
주요 이더넷 규격에는 10BASES5, 10BASE2, 10BASE-T, 100BASE-TX,
1000BASE-T, 10GBASE-T 가 있다.
<용어정리>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네트워크 기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물리 주소를 결정한다.
*이더넷(Ethernet)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 중 하나로 전 세계의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랜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술 규격이다
*충돌(collision)
데이터를 한 번에 하나만 전송할 수 있는 채널에 전송장치 두개가 같은 시점에
패킷을 보낼 때 일어나는 데이터 충돌을 말한다.
*MAC주소 (Medium Access Contrul address)
랜에 사용되는 네트워크 모델인 이더넷의 물리적인 주소로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각각의 기기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이다.
*스위치(switch, 스위칭 허브)
랜을 구성할 때 사용하는 단말기 간 스위칭 기능이 있는 통신망 중계 장치이다.
컴퓨터(호스트) 에서 특정한 다른 단말기로 패킷을 보낼 수 있는 기능이 있어
통신 효율이 향상된다.
Lesson 17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
1.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라우터가 필요하다.
2. 랜 안에서는 MAC 주소만으로도 통신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간에 통신을 하려면
IP주소가 필요하다.
3. 경로를 선택하고 목적지 IP주소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결정하는 것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4.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에는 경로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5. 네트워크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에는 IP가 있다.
6.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캡슐화 할 때 IP헤더를 추가한다.
Lesson 18 IP주소의 구조
*옥텟
원래는 그룹 여덟개를 의미하지만 네트워크에서는 데이터 8비트를 의미한다.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인터넷이 보급되면서 주소가 급속도로 고갈되기 시작하여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IPv4를
대체할만한 것으로 생겨난 것이 IPv6이다. IPv4는 32비트 IP주소였지만
IPv6는 128비트로 확장하여 2의 128제곱이라는 사실상 무제한의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IPv6 네트워크가 보급되면서 가정에 있는 TV나 에어컨에서도
인터넷을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게 되었다.
1.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하려면 IP주소가 필요하다.
2. IP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게 할당 받을 수 있다.
3. 주소의 종류에는 공인 IP주소와 사설IP 주소가 있다.
4. IP주소는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누어진다.
Lesson 19 IP주소의 클래스 구조
1. IP주소는 A~E 클래스로 나누어지며 일반적으로는 A~C 클래스를 사용한다.
2. IP주소의 클래스별 호스트 수는 A 클래스가 1677만 7214세대, B 클래스가 6만 5534세대,
C클래스가 254 세대다.
Lesson 20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의 구조
1. IP주소에는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가 있다.
이 두 주소는 특별한 주소로 컴퓨터나 라우터가 자신의 IP로 사용하면 안된다.